모국어교육과 외국어교육은 목표가 다르다. 모국어교육에서 글은 단지 의미정보의 집적이 아니다. 글에는 한 사람의 삶이 관통한다. 다시 말해 한 편의 글을 읽는 것은 한 사람의 경험, 사유, 관찰, 질문, 이 모든 것이 관통하는 하나의 작품을 만나는 경험이다. 단지 문장의 자구적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이 아니라 언어가 촉발해내는 다른 세상을 만나는 경험이다. 읽기는 타자와 마주하는 인격적인 경험이지 말하기/듣기/읽기/쓰기로 구분되는 하위 언어기능이 아닌 것이다. 하지만 현행 국어교과서는 말하기/듣기/읽기/쓰기를 내면의 인격성과 분리된 '기능'으로 규정하고 그 기능을 숙련하는 자잘한 '활동'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짜놓았다.
이것이 왜 문제인지 한 가지만 예로 들어보자. 교과서 4-1 단원의 목표는 '요약하며 읽기'이다. 그리고 요약하기 기능을 익히기 위해 서로 관련 없는 여러 조각 글을 활동용으로 제시해놓았다. 교과서 본문의 글들은 단지 요약하기를 위한 연습용으로 존재하며, 이 글의 내용과 주제에 관한 탐구, 즉 글이 담고 있는 세계와의 촉감적인 만남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요약하기 기능을 익히게 하기 위해 주제 면에서 별 상관도 없는 여러 가지 글을 활동용으로 가져와 쓸 뿐이다. 이런 식이어서는 학생들이 글과 깊이 만나고 소통하는 경험을 할 수 없다. 또한 글이 기억에 남지 않으면 요약하기 활동을 한 것 또한 학생들에게 곧 잊혀지기 쉽다. 크게 의미 있는 경험으로 남지 않는다는 말이다.
학생들에게 절실한 것은 글을 맛보는 '재미있고 의미 있는 경험'이다. 읽기가 내면의 지성과 감성을 촉촉하게 젖게 만드는 경험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재구성을 할 때 <세상을 읽다>라는 단원을 설정하여 '독도에는 무엇이 있을까'라는 교과서 글을 살리고 뒤이어 '우리 동네엔 무엇이 있을까', '우리 고장에는 무엇이 있을까'라는 주제로 연결했다. 요약하기 연습을 위한 교과서의 다른 글 대신에 우리 동네와 지역에 관한 글들을 보충으로 이어서 읽고, 관련 주제를 탐구하고, 이를 소화하는 활동으로 '요약하기'를 넣었다. 즉 우리 지역에 관한 글들을 읽으며 글을 통해 지역사회를 만나는 과정에서 요약하기 기능도 함께 배우는 것. 지역에 관한 자료를 찾는 활동도 요약하기의 일부이다. 이것만으로는 주제 탐구가 조금 아쉬워서 설명문 뒤에 지역 작가 작품 읽기를 추가하여 이 단원이 우리 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탐구가 되게 했다.
교과서에 나오는 교육과정상 주요 활동도 단원을 바꾸어 다 재배치했다. 2학기 교과서에서 가장 비중 있는 활동이 면담하기와 동영상 만들기다. 교과서에서 맥락 없이 배치된 이 동영상 만들기는 '지역을 소개하는 동영상 만들기'로 구성해서 지역 탐구 단원의 마지막에 배치했다. 그렇게 한 단원, 한 단원이 여러 글을 읽지만 전체적으로 일관성이 있는 '하나의 경험'으로 기억되도록 구성했다. 주제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이다. 교과서의 주요 글을 살리되, 더 풍성한 경험이 되도록 단원을 재배치했다. 재구성한 단원 전체가 프로젝트 학습은 아니다. 아직 어린 학생들이라 교사와 함께 차근차근 텍스트 읽기를 진행하되 단원 마지막 활동만 프로젝트활동으로 구성했다.
<재구성 목차>
1. 문학을 읽다
(1) 시 – 딱지(이준관) p16
(2) 소설 - 공작나방(헤르만 헤세) p21
프로젝트 1
2. 세상을 읽다 – 주변을 관찰하자!
(1) 설명문 - 독도에는 무엇이 있을까 (4-1, p174)
(2) 보충학습 – 우리 동네 시지에는 무엇이 있을까
(3) 보충학습 – 우리 고장 대구에는 무엇이 있을까
(4) 보충학습 – 대구 출신 작가 작품 읽기
(5) 수행평가 – 지역을 소개하는 동영상 만들기 (2-2, p96)
프로젝트 2
3. 사람을 읽다 – 성장을 위한 대화
(1) 수필 - 고래들의 따뜻한 동료애 (3-1, p128)
(2) 설화 – 자기를 찾아가는 여정, ‘오늘이’ (p200)
(3) 수행평가 – 꿈을 찾는 면담하기 (2-1, p80)
프로젝트 3
4. 언어를 읽다 – 모국어로 여는 세상
(1) 보충학습 – 조선말 큰사전 머리말 읽기
(2) 방송보도의 타당성 판단하기 (3-2, p146)
(3) 상황에 맞는 어휘와 표현 (4-2, p186)
(4) 수행평가 – 우리말 탐구 보고서 쓰기 (4-2, p210)
댓글